본문 바로가기
종교와 믿음

종교

by 오남매의푸른하늘 2023. 6. 7.
반응형

종교란 같은믿음을 가진 사람들의 신앙공동체로서

초월적이거나 영적인 존재에 대한 믿음체계나  신앙에 대한 체계를 세우고  

 도덕적 관념이나 규칙을 정해서 신에게 의지하거나 깨우침을 얻으려는 사람들의 모임이라 볼 수 있다.

종교는 인간과 인간존재의 기원과 우주적 질서에 대한 나름의 설명을 제공하기도 한다.

많은 사람들이 종교를 비 이성적인 것으로 비판하기도 하였으나 심리학적으로는 삶의 확실성이나

심신의 안정을 가저다주는 효과가 있다고 말한다.

 

종교의 유래와 어원

 

종교는 본래 불교용어로 한자로 `으뜸이 되는 가르침`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한편으로는 신과 인간을 이어준다라는 뜻을 의미하기도 하며

한자로는 으뜸종자에 가르칠교를 사용한다,

 

 

동양적 유래

동양에서는 내가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죽은 조상에게 의탁해서 해결해 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장례에서부터 제사에 이르기까지 나라마다 풍습과 형태는 다르지만

죽은 사람들의 안식을 빌고 나의 문제도 해결해 주기를 바라며

가족에서부터 시작하여

사회나 나라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제사나 행사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어떤 이들은 부모에게 순종하거나 복종하는 것에서부터 신앙이라고 보았으며

어떤 일을 할 때 있어서 결정하기 어려운 순간에

점을 치거나 또는 꿈이나 우연히 일어나는 일에도

마음을 결합시켜 믿는 행위를 자신도 모르게 해 왔다.

 

서양적 유래

서양에서는 기원전 고대에서부터

여러 가지 온갖 사물에 신들을 대입하여 수많은 신들을 믿어 왔고 모든 사물에 신이 있었다.

그래서 서양이 동양보다는 종교가 더 다양하게 발전했다고 보인다.

그러나 현제에 와서는 동양에서는 불교가 서양에서는 가톨릭, 기독교, 이슬람교등으로

크게 자리 잡았으며 물론 그 외에도 여러 종교들이 있다.

 

종교에 대한 여러 사람들의 정의

고대에는 신과 나와의 관계나 마음의 안정과 평화를 위하여 종교를 찾았지만

현대에서는 철학이나 신념등도 종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음 여러 사람들의 종교에 관한 정의를 내린것을보자.

  • 뮬러 - 무한한 존재를 지각하는 것, 이것이 인간의 덕성을 감화시킨다.
  • 틸레 - 자기보다 우월한 존재를 존경하며, 믿고, 접촉을 갈망하는 것이다.
  • 타일러 - 영적 존재에 대한 숭배와 신뢰이다(the belief in spiritual beings).
  • 듀크하임 - 성스러운 것들과 관련된 믿음과 실천의 통합된 체제
  • 볼프 - 의지의 자유를 강조하며 도덕적 행위를 말한다.
  • 칸트 - 의지 곧 실천 이성에 기초를 두고, 종교를 이성의 한계 안에 가둔다.
  • 헤겔 - 종교의 자리가 지성 속에 있다고 본다.
  • 칼 마르크스- 종교는 인간의 발전에 방해물로 인간은 스스로가 구원해야 한다.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자 눈물, 한숨"이라는 말로 이는 종교가 인간이 현실에서의 고통을 잊을 수 있는 진통제라는 뜻으로 쓴 말이다.
  • 흄 - 종교가 없는 사람은 없다.
  • 슐라이에르마허 - 종교란 무한한 신에 대한 대한유한한 인간의 절대 의존 감정이다.
  • 하르낙 - 도덕적인 개념을 강조한다.
  • 리츨 - 인간 의지를 강조함으로써 기독교를 인격적 종교로 만든다.
  • 트럴취 - 인격적 확신이다.
  • 불리 커 - 신적인 힘, 혹은 초자연적인 힘이다.
  • 반 더 리우 - 마나(힘)이다.
  • 오토 - 엄청나며, 동시에 매혹적인 신비의 체험이다.
  • 화이트헤드 - 종교란 내적 요소들을 정화하는 믿음의 힘이다. 종교는 개인이 자신의 고독을 다루는 것이다.
  • 스미스 - 종교 대신 신앙으로 본다.
  • 유진 니다- 최종적이거나 최상의 관심사이다.
  • 틸리히 - 궁극적 관심이다.
  • 벌코프 - “종교는 인간 생활에 있어서 가장 깊은 근원과 접촉하고, 인간의 사상을 지배하며
  • 인간의 감정을 자극하고 인간의 행동을 지도하는 것”으로 말한다.
  • 로버트 피시그, 리처드 도킨스 - 누군가 망상에 시달리면 정신이상이라고 한다. 
  • 다수가 망상에 시달리면 종교라고 한다.
  • 윌리엄 제임스 - 물질적인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와의 관계가 종교의 핵심이다.

따라서 종교의 공통적인 특징은 초자연적인 것을 믿거나

도덕적이거나 윤리적인현상과 현실의 구분이나 감정의 이입을 통해

기도로 신과의 교통을 이루는 어떤 조직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스도교와 사이비종교

이스라엘은 한분이 신하느님을 일찍부터받아들여

그들의 종교를 발전시키고 믿음을 두텁게 하였으며

이는 오늘날 많은 그리스도교인을 탄생시켰다.

하지만 이스라엘에서 종교는 신약 이전 구약으로 유대교로 남게 되었고

오늘날의 세계의 교회는 신약을 바탕으로 하는 예수그리스도를 믿는그리스도교도들이다.

그리스도교가 많이 퍼지는 것과 함께 사이비종교도 많이 생겨났는데

이는 기존종교의 가르침과 충돌하며 교회의 이익만을 추구하거나

인간이 신의행세를 하면서 섬기게 하는 등

참된 진리와는 멀어진 이야기를 주입시킨다.

 

여러 종교

종교와 윤리의 관계

종교와 윤리는 일치하는 가르침이 많다.

그러나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종교는 윤리가 아니기 때문이다.

종교적 교훈을 잘못 적용하는 경우 오류가 나오해로잘못 굳어져 억압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종교의 역할은 개인의 선택이면서도 진리와 하나 되어 자유를 누리는 길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

'종교와 믿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슬람교  (5) 2023.06.13
샤머니즘 과 민속 신앙  (6) 2023.06.11
불교  (1) 2023.06.10
종교 안에서의 서양미술  (1) 2023.06.09
카톨릭 과 개신교  (0) 2023.06.08